재미있는 화장실 이야기
화장실도 경쟁력이다 (1) 개선사업 7년의 공과(2011/10/11)
- 작성일2012/11/12 17:32
- 조회 900
해당 글의 작성 날짜 : 2011/10/11 08:58:54
공중화장실은 그 지역 주민들의 경제 수준뿐만 아니라 문화와 교육 수준도 가늠해볼 수 있는 중요한 척도다. 하지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화장실은 ‘뒷간’이라는 우리말에서 드러나듯 대체로 공공 영역의 관심사 밖에 있었다. 하지만 사회가 발달하면서 화장실은 더 이상 뒤 칸이 아닌 공공의 중심 투자 대상으로 부상했다. 세계적으로 약 40%에 이르는 인구가 제대로 된 화장실을 이용하지 못해 오물이 넘쳐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하천이 오염되고 그 오염된 물 때문에 수인성 전염병이 확산되는 등 인류사 악순환의 중심에 화장실의 부재가 있기 때문이다.
●라오스·몽골 등 14개국에 보급
우리나라 화장실에 문화와 투자의 개념이 도입된 것은 1997년 3월 수원에서 ‘아름다운 화장실 운동’을 편 것이 시초다. 당시 심재덕 수원시장은 시 청소행정과에 화장실 문화담당을 신설해 으뜸 화장실 콘테스트 등을 개최하며 화장실 관리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촉발시켰다. 이후 2002 한·일 월드컵을 맞아 ‘문화시민운동 중앙협의회’(문민협)가 발족하면서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한 화장실 환경 개선 사업이 활발히 일어나기 시작했다. 중앙정부가 이를 정책 추진으로 뒷받침한 것은 2004년이다. 그해 1월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 제정을 계기로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 주도의 국가 정책 사업으로 확대됐다. 정부는 ‘아름다운 화장실 조성 사업’ 등을 추진하며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121억 5900만원의 예산을 들여 공공기관, 역, 지하철, 버스터미널, 공원 등 전국 1542개 공중화장실을 신축하거나 개·보수했다.
공공 영역의 화장실에 대한 관심은 높은 국민 만족도로 나타났다. 한국화장실협회가 16개 시·도 공중화장실 이용자 2000명을 대상으로 ‘화장실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2008년 70.3점(100점 만점)이던 만족도가 2009년 조사에서는 당초 목표 점수인 75.3점을 초과한 75.4점으로,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6억 7900만원의 예산이 화장실 개선 사업에 쓰이고 있다. 단순 수치를 떠나 시민들의 평가도 긍정적이다. 경기 성남시의 직장인 안수연(38·여)씨는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공중 화장실은 지저분하고 불결하다는 인상이 강해 화장실을 이용하고 싶어도 참고 집에 가곤 했었지만, 지금은 깨끗함을 넘어 디자인까지 예쁜 화장실이 많이 늘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
행안부는 올해부터는 물 사용 절약을 위해 11개 시·도 16곳을 지정해 중수도 시설을 도입하고 있다. 중수도 사업은 세면대 등에서 한번 사용한 물을 화장실 내에 설치된 수도를 통해 정화한 뒤 재활용하는 것으로, 행안부는 이 시설을 통해 물 사용 절약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국내 화장실 개선 사업을 넘어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는 라오스, 인도네시아, 가나, 몽골, 파라과이 등 14개 국가에 깨끗한 공중 화장실을 보급하는 등 국제 원조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여성은 여전히 불편
하지만 이 같은 성장에도 불구하고 국가 경쟁력의 표상으로서 화장실 문화 운동이 가야 할 길은 여전히 멀다.
우선 화장실 이용에 있어서의 성차별 문제다.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에도 전국 공중 화장실에 설치된 여성용 변기 수는 남성용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다.
행안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현재 전국 5만 7913개 공중 화장실에 설치된 여성용 변기는 남성용 변기의 69% 수준에 불과하다. ‘공중 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남성용 변기와 여성용 변기는 같은 비율로 설치돼야 하지만 실제로는 여성용 변기가 부족해 여성이 불편을 겪고 있다.
행안부는 지자체와 공공기관, 한국도로공사, 지하철공사 등 관련 기관과 관련 협회 등에 건축 계획 수립 단계부터 여성 변기 수 확충 계획이 반영될 수 있도록 협조를 구하고 있다. 이성인 행안부 생활공감정책과장은 “앞으로 지자체와 관련 기관·단체 합동으로 여성 변기 수 확충 기준 이행 여부를 수시로 확인·점검하고 기관 평가 항목 등에 반영해 실질적으로 여성 변기 수가 확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라오스·몽골 등 14개국에 보급
우리나라 화장실에 문화와 투자의 개념이 도입된 것은 1997년 3월 수원에서 ‘아름다운 화장실 운동’을 편 것이 시초다. 당시 심재덕 수원시장은 시 청소행정과에 화장실 문화담당을 신설해 으뜸 화장실 콘테스트 등을 개최하며 화장실 관리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촉발시켰다. 이후 2002 한·일 월드컵을 맞아 ‘문화시민운동 중앙협의회’(문민협)가 발족하면서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한 화장실 환경 개선 사업이 활발히 일어나기 시작했다. 중앙정부가 이를 정책 추진으로 뒷받침한 것은 2004년이다. 그해 1월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 제정을 계기로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 주도의 국가 정책 사업으로 확대됐다. 정부는 ‘아름다운 화장실 조성 사업’ 등을 추진하며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121억 5900만원의 예산을 들여 공공기관, 역, 지하철, 버스터미널, 공원 등 전국 1542개 공중화장실을 신축하거나 개·보수했다.
공공 영역의 화장실에 대한 관심은 높은 국민 만족도로 나타났다. 한국화장실협회가 16개 시·도 공중화장실 이용자 2000명을 대상으로 ‘화장실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2008년 70.3점(100점 만점)이던 만족도가 2009년 조사에서는 당초 목표 점수인 75.3점을 초과한 75.4점으로,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6억 7900만원의 예산이 화장실 개선 사업에 쓰이고 있다. 단순 수치를 떠나 시민들의 평가도 긍정적이다. 경기 성남시의 직장인 안수연(38·여)씨는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공중 화장실은 지저분하고 불결하다는 인상이 강해 화장실을 이용하고 싶어도 참고 집에 가곤 했었지만, 지금은 깨끗함을 넘어 디자인까지 예쁜 화장실이 많이 늘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
행안부는 올해부터는 물 사용 절약을 위해 11개 시·도 16곳을 지정해 중수도 시설을 도입하고 있다. 중수도 사업은 세면대 등에서 한번 사용한 물을 화장실 내에 설치된 수도를 통해 정화한 뒤 재활용하는 것으로, 행안부는 이 시설을 통해 물 사용 절약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국내 화장실 개선 사업을 넘어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는 라오스, 인도네시아, 가나, 몽골, 파라과이 등 14개 국가에 깨끗한 공중 화장실을 보급하는 등 국제 원조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여성은 여전히 불편
하지만 이 같은 성장에도 불구하고 국가 경쟁력의 표상으로서 화장실 문화 운동이 가야 할 길은 여전히 멀다.
우선 화장실 이용에 있어서의 성차별 문제다.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에도 전국 공중 화장실에 설치된 여성용 변기 수는 남성용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다.
행안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현재 전국 5만 7913개 공중 화장실에 설치된 여성용 변기는 남성용 변기의 69% 수준에 불과하다. ‘공중 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남성용 변기와 여성용 변기는 같은 비율로 설치돼야 하지만 실제로는 여성용 변기가 부족해 여성이 불편을 겪고 있다.
행안부는 지자체와 공공기관, 한국도로공사, 지하철공사 등 관련 기관과 관련 협회 등에 건축 계획 수립 단계부터 여성 변기 수 확충 계획이 반영될 수 있도록 협조를 구하고 있다. 이성인 행안부 생활공감정책과장은 “앞으로 지자체와 관련 기관·단체 합동으로 여성 변기 수 확충 기준 이행 여부를 수시로 확인·점검하고 기관 평가 항목 등에 반영해 실질적으로 여성 변기 수가 확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